2012년 4월 3일 화요일

포-플러시보다 좋은 A 원-페어, 그러나 A 투-페어보다 좋은 포-플러시[바둑이고수의의노하우]


포-플러시보다 좋은 A 원-페어, 그러나 A 투-페어보다 좋은 포-플러시 (6구에서)

이것은 어찌 듣기에는 참으로 말이 안되는 이론이다. 하지만 이것이 바로 포커게임의 어려움이자 매력인 것이다. 그러면 도대체 어찌해서 A 원-페어가 포-플러시보다 좋은 것이며, 또 A 투-페어보다 포-플러시가 어찌해서 더 좋은 카드인지를 지금부터 알아보기로 하자. 믈론 모든 경우에 다 이러한 이론이 적용된다는 뜻은 절대로 하니다. 하지만 반드시 그 의미가 무엇인지는 정확히 알고 넘어가야 할 것이다. 우선
A 원-페어가 포-플러시보다 좋다고 하는 것은


   ① 1:1의 승부일 경우
만약 1:1의 승부 상황이라면, 포-플러시를 가지고 있는 쪽보다는 A 원-페어를 가지고 있는 쪽의 승률이 80% 이상의 상회하게 된다. 포-플러시와 A 원-페어 둘만의 승부는 포-플러시를 가지고 있는 쪽에서 플러시를 뜨느냐 못 뜨느냐에 완전히 달려 있다. 이는 A 원-페어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투-페어를 뜨든 못 뜨든, 승패는 플러시를 뜨느냐 못 뜨느냐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러한 상황에서, 포-플러시에서 마지막장에 플러시를 뜰 확률은 평균 9/46에 불과하다. 1/5이 채 안되는 희박한 확률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승산은 당연히 A 원-페어 쪽이 훨씬 높은 것이며, 여러분들은 이러한 상황이라면 A 원-페어를 가지고 자신있게 승부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② 상대방이 투-페어(또는 그 이하)라고 판단될 때
만약 상대방이 6구까지 투-페어를 가지고 베팅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그것을 대응하는 나의 카드는 포-플러시보다는 A 원-페어가 훨씬 더 승산이 높은 카드라는 것이다. 쉽게 설명하면, 상대방이 6구까지 투-페어를 가지고 있는데 만약 그가 히든에 풀-하우스를 뜬다면, 나의 카드가 6구에 포-플러시이든 A 원-페어이든, 나는 마지막에 무엇을 뜨더라도 이길 수 없게 된다. 그런데 투-페어를 가지고 있는 상대가 히든에 풀-하우스를 뜨지 못했을 경우라면 나에게도 이길 수 있는 찬스가 오는 것이다. 6구에 내가 포-플러시였다면 플러시를 뜨면 이기는 것이고, 6구에 내가 A 원-페어였다면 투-페어를 뜨면 이길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각각의 확률을 비교해보면,
    포-플러시에서 플러시를 뜰 확률 : 9/46
    A 원-페어에서 투-페어(또는 트리플)를 뜰 확률 : 14/46

즉, A 원-페어에서 투-페어를 뜰 확률이 포-플러시에서 플러시를 뜰 확률보다 훨씬 더 높다.
이와 같은 이유로서 우리는, 상대방이 투-페어를 가지고 있을 때 그것에 대응하는 나의 카드로서는 포-플러시보다 A 원-페어가 더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그러면 이번에는


A 투-페어보다 좋은 포-플러시, 이것은 또 어찌해서 그렇게 되는지 알아보기로 하자.
이것 역시도 앞의 이론과 똑같은 이야기이다. 상대의 카드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A 투-페어보다 포-플러시가 훨씬 더 좋은 카드가 될 수도 있고, 훨씬 더 나쁜 카드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 과연 어떤 경우에 어느 카드가 좋은지 예를 들어 비교해가며 알아보도록 하자.
   ① 상대가 투-페어(또는 그 이하)일 경우
   ② 상대가 트리플일 경우
   ③ 상대가 스트레이트 메이드일 경우
   ④ 상대가 플러시 메이드일 경우(탑이 높을 경우, 낮을 경우)
   ⑤ 상대가 풀-하우스 메이드일 경우
이 다섯 가지 상황을 기준으로 하여 어느 경우에 A 투-페어보다 포-플로시가 좋은 카드인지를 살펴보기로 하자.
우선 결과부터 먼저 얘기하면, ②와 ③의 경우에는 A 투-페어보다 포-플러시가 훨씬 더 좋은 카드가 되는 것이다. 그것은 앞서 이야기 했던 이론과 같이, 바라는 것을 못 뜨면 지고, 뜨면 이길 수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A 투-페어에서 풀-하우스를 뜨는 것보다는 포-플러시에서 플러시를 뜨는 것이 훨씬 더 가능성이 많고 쉽기 때문인 것이다.(②의 경우는 상대가 트리플에서 풀-하우스를 뜨지 못했을 경우를 이야기하는 것임. 그렇기에 상대가 만약 풀-하우스를 뜬다면, 그때는 A 투-페어가 더 좋은 카드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①과 ⑤의 경우에는 포-플러시보다 A 투-페어가 훨씬 더 좋은 카드인 것이다. 이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이기에 지면 관게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
그런데 ④의 경우에는 상대의 플러시 메이드의 탑(플러시의 가장 높은 숫자)이 만약 내가 포-플러시에서 마지막에 플러시를 메이드시켰을 때 플러시의 탑이 높은지 낮은지에 따라, A 투-페어가 좋은지, 아니면 포-플러시가 좋은지가 결정되는 것이다. 쉽게 얘기해서, 내가 포-플러시에서 마지막에 플러시를 메이드시키기만 하면, 상대방의 플러시를 무조건 이길 수 있는 상황이라면(나의 플러시 탑이 아주 좋든지, 아니면 상대방의 플러시 탑이 아주 낮다고 느껴질 때), 상대방의 플러시 메이드는 스트레이트 메이드 정도의 의미밖에는 안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내가 플러시를 뜨기만 하면 무조건 이길 수 있는 상황이니까..., 그렇기에 이와 같은 경우에는 ③의 상황과 똑같은 상황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결국 이 때는 A 투-페어보다 포-플러시가 더 좋은 카드라는 것이다.
그런데 ④의 경우에서 이와는 반대로, 상대방 플러시 메이드의 탑이 아주 높거나, 내가 만약 플러시를 메이드시켜도 탑이 나빠서 상대의 플러시 메이드는 나에게는 풀-하우스 메이드의 위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때는 ⑤와 똑같은 상황이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②③의 경우 : A 투-페어보다 포-플러시가 좋다.
   ①⑤의 경우 : 포-플러시보다 A 투페어가 좋다
   ④의 경우 : 상대방 플러시 메이드의 탑에 따라 결정됨.
지금의 이론으로서 알 수 있듯이, 포커는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항상 최선이 변하는 것이다. 예를 현재 Q 트리플을 가지고 있다면, 마지막 히든 카드에 플-하우스를 뜨고 싶지 않은 사람은 포커게임을 하는 사람이라면 아마도 한 명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만약 그 때에 상대방 누군가가 K 풀-하우스 혹은 A 풀-하우스 등과 같이 Q 풀-하우스를 이기는 카드를 가지고 있다면, Q 트리플에서 마지막에 풀-하우스를 뜨지 못하는 것이 큰 행운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누구라도 그러한 상황을 알 수 없는 것이기에 무조건 Q 트리플에서 풀-하우스를 뜨기를 바라는 것이다. 그렇기에 이 포커게임이 더욱 어려운 것이다.
"아니, 거기서 이게 왜 떠서 더 죽게 만드는 거야, 참 재수 더럽게 없네." 우리는 이러한 푸념을 흔히 들을 수 있다. 물론 앞에서 예를 들은 것과 같이 Q 풀-하우스와 같이 엄청나게 좋은 카드를 가지고서 지는 경우는 거의 드문일이긴 하지만, 실제로 마지막 장에 스트레이트나 플러시 등을 떠서 더 많이 잃는 겅우는 아주 흔한 일이다. 그런데 이 때 중요한 점은, 상대방이 마지막 카드에서 필요한 것을 뜸으로서 결국 플러시 도는 스트레이트를 잡고 있던 내가 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이지만, 나는 결국 마지막에 스트레이트 또는 플러시를 뜨면 더 잃고, 못 뜨면 적게 잃는 참으로 불행한 경우가 되는 것이다. 쉽게 얘기해서, 히든에 나는 무엇을 뜨든 이미 져 있는 그러한 상황은 절대로 피해 가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그것이 어려운 것이긴 하지만, 결코 불가능한 것은 아니기에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과제인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는 차후에 기회가 오면 다시 설명하기로 하겠다. 다시 앞의 이야기로 돌아가서, 결국 카드는 상황에 따라서 A 원-페어가 포-플러시보다 좋을 때도 있고 반대로 포-플러시가 A 원-페어보다 좋은 카드일 경우도 있는 것이며, 마찬가지로 A 투-페어와 포-플러시 역시도 상대방 카드의 상황에 따라 어느 쪽이 더 가능성이 높은 카드인지가 바뀐다는 점을 반드시 명심해야 할 것이며, 어느 상황에서 어떤 카드로써 승부할 것인지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능력도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것이다. 


  * 2 트리플 과 A-K 투-페어 (6구까지의 상황)

이것은 앞의 (4)의 내용과 맥을 같이 한다. 어느 누구라도 2 트리플과 A-K 투-페어 간의 맞대결이라면 2 트리플 쪽이 훨씬 더 유리한 카드라는 것은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이야기하는 중요한 점은, 만약에 상대의 카드가 풀-하우스 메이드인 상황이라고 가정한다면, 그 때는 분명히 2 트리플보다는 A-K 투-페어가 훨씬 좋은 카드가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너무 당연한 이야기인 것처럼 들리겠지만, 실제의 게임 상황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무심코 잊어버리는 경우가 너무 많기에 여기서 다시 한 번 강조하는 것이다. 물론 상대방의 카드가 스트레이트 메이드 또는 플러시 메이드 등과 같이, 내쪽은 2 트리플에서 풀-하우스를 떠도 이길 수 있고, A-K 투-페어에서 풀-하우스를 떠도 이길 수 있는 상황이라면 이 때는 말할 것도 없이 2 트리플이 A-K 투-페어보다 훨씬 더 좋은 카드이다. 그런데 특이한 상황에서는 A-K 투-페어가 2 트리플보다 훨씬 좋은 카드가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그러면, 과연 어떤 경우에 그렇게 되는지 알아보기로 하자.
   ① 상대가 풀-하우스 메이드일 경우(6구까지)
   ② 상대가 투-페어일 경우(6구까지)
①과 ②의 두 가지 경우에 있어서는 2 트리플보다 A-K 투-페어가 훨씬 더 좋은 카드가 되는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①의 경우에는 2 트리플에서 포-카드를 뜨지 못하는 한 풀-하우스를 떠도 지는 상황인 것이다. 그렇지만 A-K 투-페어에서는 A나 K 둘 중 아무것을 떠도 이길 수 있는 상황이다. 물론 투-페어에서 풀-하우스를 뜬다는 것이 엄청나게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그래도 2 트리플에서 포-카드를 뜨는 것보다는 확률이 무려 4배가 높은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①의 경우에는 2 트리플보다 A-K 투-페어가 훨씬 좋은 카드가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②의 경우에는, 상대방이 투-페어(6구까지의 상황)이기 때문에 마지막 히든 카드에서 풀-하우스를 뜨지 못한다면 무조건 내가 이기는 것이다(트리플이든 A-K 투-페어이든). 그런데 만약 상대방이 히든에 풀-하우스를 메이드시킨다면 상황은 ①과 똑같아지는 것이다. 즉 내가 이기기 위해서는, 6구째 나의 카드가 2 트리플이었다면 무조건 2 포-카드를 떠야 하는 것이고, 6구째 나의 카드가 A-K 투-페어였다면 A나 K 중의 1장을 떠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듯 카드는 그때그때의 상황에 의해 그 가치가 크게 달라지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한 가지 깨달아야 하는 것은, 6구째에 만약 내가 A-K 투-페어와 같은 카드를 가지고 있다면, 한 명도 죽지 않고 모든 멤버가 히든까지 전부 참여하여 큰 승부를 겨루는 상황이라 하더라도(상대방 가운데는 이미 무엇인가 메이드가 된 사람도 있을 수 있고, 또는 트리플, 투-페어 등으로 히든에 풀-하우스를 뜨려고 노리는 사람도 분명히 있을 것이다), 다른 상대들이 뜨건 못 뜨건, 오직 내 자신이 풀-하우스를 뜨면 1등을 하는 것이고 못뜨면 지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 그러니까 뜨고서도 지는 사태는 거의 발생할 확률이 없다고 보아도 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이 히든까지 죽지 않고 참여하여 배당이 아주 좋을 때에는 충분히 승부를 걸어볼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똑같은 상황에서 6구째에 나의 카드가 먄약 2 트리플일 경우에는, 상대방들 가운데 누군가가 이미 풀-하우스 메이드가 되어 있는 것 같은 상황이라 느껴진다면 6구에서 카드를 꺾을 줄 알아야 하며, 또 풀-하우스가 이미 메이드가 되어 있는 사람은 없더라도, 2 트리플에서 히든에 풀-하우스를 뜨는 것이 바로 나의 완벽한 승리를 보장하기 어렵다는 것도 동시에 알아두어야 하는 것이다(다른 사람들도 히든에 풀-하우스를 뜰 가능성이 있는 것이니까). 이것이 바로 고수와 하수의 차이점이며, 또 2 트리플과 A-K 투-페어의 차이점인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